2018년 3차 연구개발특구육성사업(대덕ㆍ광주ㆍ대구ㆍ부산ㆍ전북) 지원 공고
연구개발특구를 중심으로 공공연구기관(출연(연), 대학, 전문(연) 등)의 연구성과인 공공기술을 활용하는 기술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해 연구소 설립, 기술가치평가, 특구 네트워크 구축 등을 지원해 드리는 사업입니다.
☞ 각 특구내 공공기술을 이전받은 기업 또는 연구소기업 및 연구소기업 설립을 추진 중인 기관
☞ 기술이전사업화, 기술창업,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등 지원
ㅇ 지원대상
- 연구개발특구를 중심으로 공공연구기관(출연(연), 대학, 전문(연) 등), 연구소 기업
* 자세한 사항은 세부분야별 지원내용을 참조
1. 연구소기업의 역량강화 및 맞춤형 지원으로 성장 촉진
ㅇ 연구소기업 성장지원 사업
- (분야별_TrackⅡ) 특구재단에서 구축한 분야별(시제품제작, 판로개척 등) 수행기관 Pool에서 기업이 선택하거나 직접 매칭하여 컨소시움으로 지원
구분 | 신청자격 | 총예산
(백만원) |
건당 지원규모
/ 지원기간 |
접수방법 | 접수기간 | 문의 |
대덕 | 대덕특구 소재 연구소기업 등 | 2,515 | 기업당 80백만원 이내 / 8개월 이내 | 현장 또는 우편접수 | 수시접수 | 042-865-8982 |
광주 | 광주특구 소재 연구소기업 | 1,133 | 기업당 50백만원 이내 / 6개월 이내 | 062-603-5022 | ||
대구 | 대구특구 소재 연구소기업 | 288 | 기업당 20백만원 이내 / 4개월 이내 | 053-592-8352 | ||
부산 | 부산특구 소재 연구소기업 | 504 | 기업당 40백만원 이내 / 6개월 이내 | 051-293-4873 | ||
전북 | 전북특구 소재 연구소기업 | 850 | 기업당 80백만원 이내 / 6개월 이내 | 063-905-9752 |
- 예비창업자, 스타트업 및 연구소기업을 발굴하여 멘토링·데모데이 등의 프로그램 및 투자기회 제공을 통해 조기 성장 지원
구분 | 신청자격 | 총예산
(백만원) |
건당 지원규모
/ 지원기간 |
접수방법 | 접수기간 | 문의 |
대덕 | 창업기업 집중보육 프로그램 운영경험이 있고, 투자기능을 갖춘 민간법인(2개 이내 컨소시엄 가능) | 900 | 연 300백만원 내외 / 2년 이내 | 현장 또는 우편접수 | ’18. 5. 23(수) ~
5. 31(목), 15:00까지 |
042-865-8983 |
광주 |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운영이 가능하고 투자 기능을 갖춘 전문법인(컨소시엄 구성 가능) | 200 | 연 200백만원 이내 / 1년 이내 | 062-603-5022 | ||
부산 | 부산 내 자체 투자 역량을 갖춘 액셀러레이팅 기관(컨소시엄 구성 가능) | 200 | 연 200백만원 이내 / 2년 이내 | 051-293-4873 | ||
전북 |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운영이 가능하고 투자 기능을 갖춘 전문법인(컨소시엄 구성 가능) | 200 | 연 200백만원 이내 / 1년 이내 | 063-905-975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