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창업도약패키지 지원사업 3차 후속 연계지원 분야 창업기업 모집 공고
(주관기관을 광주과학기술원으로 선택하세요)
창업도약기 기업의 죽음의 계곡(Death Valley) 극복 및 성과창출을 위해 유통, 수출, 투자유치, 제품개선 등 후속 교육 및 자금을 지원해 드리는 사업입니다.
☞ 창업 7년이내 기업(제품개선 프로그램은 창업 3~7년 이내 기업)
☞ 교육(5대 도약아카데미 분야별 교육), 연계자금(최대 50백만원 한도) 지원
ㅇ 지원대상 : 창업 7년이내 기업
※ 제품개선 프로그램은 창업 3~7년 이내 기업
ㅇ 신청자격
-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제1항에 따른 창업기업의 대표자로서 모집 공고일 현재 창업 7년 이내인 자(기업)
※ ‘제품개선 프로그램’에 한하여 3년 이상 7년 이내인 자(기업)
- 창업기업 인정기간
ㆍ 유통, 수출, 투자 프로그램 : 2010년 12월 4일 ~ 2017년 12월 4일
ㆍ 제품개선 프로그램 : 2010년 12월 4일 ~ 2014년 12월 4일
ㅇ 신청 제외 대상
- 금융기관 등으로부터 채무불이행으로 규제중인 자(기업)
ㆍ 단, 신청·접수 마감일(’17.12.21)까지 채무변제 완료 후 증빙이 가능한 자(기업), 신용회복위원회의 프리워크아웃, 개인워크아웃 제도에서 채무조정합의서를 체결한 경우, 법원의 개인회생제도에서 변제계획인가를 받거나 파산면책 선고자, 회생인가를 받은 기업, 중소기업진흥공단 등으로부터 재창업자금을 지원 받은 자(기업), 건강관리시스템 기업구조 개선진단을 통한 정상화 의결기업 등 정부․공공기관으로부터 재기지원 필요성을 인정받은 자(기업)는 신청(지원) 가능
- 국세 또는 지방세 체납으로 규제중인 자(기업)
ㆍ 단, 세금분납계획에 따른 성실납부기업(체납처분유예신청), 신청·접수 마감일(’17.12.21)까지 국세, 지방세 등의 특수채무 변제 후 증빙이 가능한 자(기업), 중소기업진흥공단 등으로부터 재창업자금을 지원 받은 자(기업), 건강관리시스템 기업구조 개선진단을 통한 정상화 의결기업 등 정부․공공기관으로부터 재기지원 필요성을 인정받은 자(기업)는 신청(지원) 가능
- 신청일 현재 휴업 중인 자(기업)
- 중소기업창업지원법 시행령 제4조의 업종을 영위하고 있거나 또는영위하고자 하는 자(기업)
ㆍ 지원제외 대상 업종 참조
- 기타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참여제한의 사유가 있다고 인정하는 자(기업)
ㅇ 선정규모 : (교육) 500개사 내외, (연계자금 지원) 200개사 내외
ㅇ 지원 프로그램
구분 | 지원내용 |
교육(아카데미) | ㅇ 유통, 수출, 제품개선, 투자, 상장 등 ‘5대 도약아카데미’ 분야별 교육 |
연계자금 지원 | ㅇ ‘5대 도약아카데미’ 교육을 수료한 기업 중 평가를 통해 선정된 창업기업에 유통, 수출, 제품개선, 투자, 상장에 소요되는 자금(최대 50백만원 한도) |
① 교육(도약 아카데미)
- 교육 신청자 중 평가를 통해 선정된 기업(자)을 대상으로 유통, 수출, 제품개선, 투자, 상장 등 5대 도약아카데미 실시
ㆍ 창업기업 희망에 따라 복수의 아카데미 수강이 가능하며, 연계자금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해당 아카데미를 이수해야 함
- 교육비 전액 무료(숙박비, 교통비 등 개인 체재비는 지원제외)
구분 | 3차 | ||
일정 | 시간 | 장소 | |
유통 | ’18.2.22 ~ 3.9 | 30h | 서울 |
수출 | ’18.1.22 ~ 3.14 | 20h | 서울, 대전 |
제품 개선 | ’18.1.10 ~ 1.23. | 20h | 충청호남, 영남, 서울 |
투자 | ’18.1.9~1.10 | 20h | 서울 |
- 2차 교육 내용
구분 | 교육내용 | 세부일정(1회) |
유통 | ㅇ 온∙오프라인 유통채널 입점교육 ㅇ 유통채널 MD 제품품평회 및 구매상담회 * 공영홈쇼핑, 현대홈쇼핑, 이랜드리테일, 홈플러스, 다이소, 위메프, 쿠팡 등 현직MD 참가 |
ㅇ 2.22~23 유통교육(서울) ㅇ 2.28~3.9 품평회 및 상담회(서울) * 품평회 및 구매상담회는 변동가능 |
수출 | ㅇ 수출대상국·분야별 수출역량 평가 ㅇ 국가별 인증제도 및 시장진출 전략 ㅇ 수출교육(수출입 통관, 무역실무, 실무실습 등) ㅇ 수출전문가 맞춤형 멘토링 지원 |
ㅇ 1.22~25 수출역량평가(서울, 대전) ㅇ 국가별 시장교육 - 서울 : 1.31~2.2, 대전 : 2.7~2.9) ㅇ 수출실무교육 - 서울 : 3.5~3.7, 대전 : 3.12~3.14) * 2.21 해외규격 인증획득 지원사업 설명회(희망기업에 한함) |
제품개선 | ㅇ 목표고객 검증, 제품의 기술과 역량 파악 ㅇ 30명 내외의 타깃고객 대상 VOC 조사 ㅇ 제품스펙 확정 및 개선점 도출 |
ㅇ 1회 2일간 교육 시행 ㅇ 주관기관에서 일정 및 장소 확정 후 교육대상자에 별도 통보 |
투자 | ㅇ 기본교육(투자관련 회계 및 세제 등) ㅇ 심화과정(투자방법 사례분석, 투자유치방법 등) * 온라인(크라우드펀딩), 오프라인(IR연계) 구분 ㅇ 실전교육(제출과제 피드백 및 온라인멘토링 등) |
ㅇ ’18.1.9 기본교육(서울 예정) ㅇ ’18.1.10 심화교육(서울 예정) |
구분 | 지원내용 | 연계자금 지원 한도 |
유통 | ㅇ 온·오프라인 유통채널에 입점 소요 비용 지원 ‐ 공영홈쇼핑, T-커머스 방송입점 등 ‐ 롯데마트, 이랜드리테일, 홈플러스 입점소요비, 홍보비 등 ‐ 위메프, 쿠팡, 아마존, 이베이 상세페이지 제작 등 |
ㅇ TV홈쇼핑 채널 당 최대 15백만원 ㅇ 오프라인 채널 당 최대 10백만원 ㅇ 온라인채널 당 최대 5백만원 |
수출 | ㅇ 해외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기업의 국내외 전시회 및 판촉전 참가, 인증취득 등 지원 ‐ (인증취득) 해외 인증취득비용 ‐ (전시회·판촉전 참가) 전시회 부스임차비, 통역비, 마케팅, 항공·숙박비(1인), 물류비 등 |
ㅇ 인증취득비 : 최대 5백만원(총 비용의 최대 50%) ㅇ 국내전시회 참가 최대 5백만원 ㅇ 해외전시회 참가 최대 15백만원 ㅇ 해외판촉전 참가 최대 8백만원 |
제품개선 | ㅇ 교육이수 후 타겟 고객대상 목표 매출액 달성을 위해 도출된 제품의 개선과업에 따른 디자인 및 소재, 패키지 등 제품 개선 지원 | ㅇ 제품개선비용 최대 10백만원 |
투자 | ㅇ IR을 위한 준비과정(보고서, 피칭 등) 지원 ㅇ 크라우드펀딩 등록을 위한 멘토링, 동영상 제작, 스토리텔링, 크라우드펀딩 등록비용 등 |
ㅇ 직접 자금지원이 아닌 해당 금액에 상응하는 서비스 지원 ㅇ IR 준비지원 최대 3백만원 ㅇ 크라우드 펀딩 투자형 최대 4백만원, 리워드형 최대 1.5백만원 |
사업문의 : 창업진흥센터 정하연 대리 062-715-26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