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창업
학생창업절차
학생창업동아리
사업개요
- 광주과학기술원 창업진흥센터는 대학(원) 내 재학생의 창업동기를 부여하고 미래 혁신적인 기업가를 양성하기 위하여 참신한 아이디어와 창업의지를 갖춘 창업동아리 모집
모집대상
- 광주과학기술원 대학(원)에 재학 중인 학생으로서 사업화 가능한 독창적인 창업아이템을 보유한 5명 이상으로 구성된 동아리 (기존 창업동아리 포함)
- 모집 창업동아리 수 : 5개팀 이상
지원내용
- 동아리별 아이템 개발비 지원 (200만원/팀)
- 동아리 활동 공간 지원 (창업진흥센터 A동 및 B동)
- 전문가 멘토링 및 컨설팅 지원 (전문멘토 매칭)
- 지식재산권 취득지원 (발명진흥회 연계)
- 기타 창업 지원 프로그램 참가 시 우대 (JETS 프로그램)
신청 및 접수
- 접수방법 : 신청서 양식 다운로드 및 내용 작성 후 창업진흥센터로 직접 제출 (붙임1 서식)
※ 단, 제출된 서류는 일체 반환되지 않음
제출서류
- 학생창업동아리신청서다운로드
문의 및 제출처
- 창업진흥센터김태완062-715-2593kimtw@gist.ac.kr
- 제출처 : 광주광역시 북구 첨단과기로 123번지(오룡동) 광주과학기술원 창업진흥센터 A동 2층, 행정실
모의창업
1. 모의창업프로그램 (GSS)
모의창업프로그램운영
- GIST 학생창업 지원 프로세스 중 실전창업 전 자신의 기술창업 아이디어에 대해 다양한 창업활동을 경험할 수 있도록 창업동아리 및 GSS 프로그램 운영
추진실적
<창업동아리>
- 다양한 전공과 경험을 보유한 다수의 학생들이 상호작용을 통해 창업동아리 안에서 서로 융합하여 일련의 창업활동을 수행하고 기술창업을 할 수 있도록 지원
- 다양한 특성을 가진 학생들이 상호 소통하고 협력하는 활동을 통해 새롭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생성하거나 새로운 아이템을 발굴하는 등 창업에 필요한 제반 활동을 수행하는 모임으로 육성
- 창업동아리 지원 내용
– 동아리 활동비 지원 : 동아리 각 200만원
– 동아리 멘토링 운영 : 선배CEO, 엔젤투자멘토단 등과 동아리와의 1:1멘토링 매칭을 통해 창업에 대한 멘토링 실시 - 자체 연합 활동 지원 : 동아리 자체적으로 창업관련 행사를 기획 및 운영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타 대학 동아리와의 교류 및 연합 할 수 있도록 지원
- 창업동아리, 아이디어 경진대회를 통해 발굴된 창업아이디어 및 우수 학생 예비창업자를 GSS 프로그램으로 연계 운영
- 단기간 내 사업화 가능한 학생 기술창업 아이디어를 발굴하여 학생주도의 다양한 창업활동 지원
- 창업 활동 지원금 지급 : 팀당 500만원 – 8팀
중간평가를 통한 추가지원금 : 팀당 300만원 – 5팀.
2. Tech. To Market
Tech. To Market 사업개요
- 학생창업 활성화 저해요인으로 “지도교수의 창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가장 큰 요인임을 인지하고, 지도교수의 창업에 대한 관심유도 및 창업인식 변화 방안 강구 필요
- 창조경제 성과확산에 대한 정부정책을 수동적이 아닌 능동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기관 성과와 연계 필요
목적
- 연구실에서 개발하고 있는 신기술을 논문/특허 등록에만 목표를 두지 말고 시장수요에 맞춘 사업계획서를 제안함으로써 연구실 기술이 제품시장으로 연결될 수 있는 토대 마련
- 1연구실 1사업계획서 발굴을 통해 시장전문가에게 사업계획서 보완, 아이템 검증, 비즈니스모델 개발 등을 멘토링 받고, IR 등을 통해 연구소기업 또는 창업으로 연결
추진방안
- ①1Lab,1BP 공모 → ②서면평가(시장전문가) → ③1차선정→ ④집중멘토링 → ⑤발표평가(시장전문가) → ⑥최종선정→ ⑦IR→ ⑧사업비 지원→ ⑨ 성공기업
지원대상
- 참여대상
최근 5년간 GTI 과제참여 LAB 의무 참여
GTI 지원을 받지 않은 LAB 자율 참여 - 참여방법 : 각 LAB에서 기술사업화 또는 창업이 가능한 형태의 사업계획서 작성 및 제출
- 지원사항 : BP수립비(50만원/팀) 지원,
평가방법
- 서면평가 및 1차 선정 방법
평가위원 : 시장전문가 2인, 기술전문가 3인
평가지표 : 기술성(30%), 시장성(25%), 수익성(25%), 창업의지(20%) - 집중멘토링
대 상 : 1차 서면평가를 통과한 20팀
멘토구성 : 벤처1세대 멘토링센터 Pool을 활용한 10명 확보 (2팀/멘토)
주요내용 : 비즈니스모델 보완, 사업계획서 수정 및 보완 - 발표평가 및 최종선정 방법
평가위원 : 시장전문가 5인
평가지표 : 창업의지(30%), 시장성(25%), 수익성(25%), 기술성(20%)
주요내용 : 비즈니스모델 보완, 사업계획서 수정 및 보완
기대효과
- 연구실 기술을 시장에 맞춰 사업계획서로 작성함으로써 창업을 쉽게 접근하도록 하여 학생창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 유도
- 연구실 R&D가 논문과 특허로 끝나지 말고 시장수요를 반영, 직접 제품화함으로써 교원 및 학생창업활성화 기여
- 연구실 기술이 GIST Valley의 기반이 되는 사업이 되어 지역과 국가산업 발전 선도
실전창업
사업개요
- GIST만의 대표 창업프로그램이 필요
– GIST 대학(원)생 및 연구원, 교원을 위한 대표 창업프로그램 필요
– 실제 창업과 기업경영을 위한 실전프로그램 - 모의창업이 아닌 법인설립을 전제로 실전창업의 필요성 제기
– 모의창업의 한계를 넘어 다음 단계의 실전창업 프로그램 필요
– 법인설립과 함께 자금조달, 사업화 추진의 일원화 요구
목적
- 모의창업 이후의 실전창업 프로그램 설계
– 법인설립을 전제로 사업화지원 프로그램 운영
– 실험실 기술의 실용화와 제품화 최종 검증 - GIST 스타기업 배출을 위한 초기 관문
– 초기 시제품 제작과 제품완성도 향상을 위한 자금 지원
– 기술기반의 시제품 검증을 통한 투자유치(TIPS운영사 연계) 실시
추진방안
- 『Campus CEO Challenge』 운영절차
지원절차
- ①’CCC’공고 → ②지원팀 접수 → ③지원팀 심사 및 선정→ ④집중멘토링 → ⑤시제품 제작 → ⑥사업화팀 중간평가→ ⑦법인설립→ ⑧최종평가 → ⑨(TIPS연계) 투자유치 활동
문의처
- 창업진흥센터강창성062-715-2666kcsda@gist.ac.kr